오늘의 여담

오늘의 여담

아무도 모른다, 🌿 그렇지만 문은 열려 있다 🌿

고레에다 히로카즈, 〈아무도 모른다〉 부모의 보호가 사라진 집에서 아키라, 쿄코, 시게루, 유키 네 남매가 살아가는 방식은 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 예전과 같이 시간이 흐르고, 다음 계절이 오는 과정들을 통해 아이들이 처한 현실이 조용히 드러난다. 이 영화, 어디서 보지? 🌿 그렇지만 문은 열려 있다 🌿 하나의 사건(영화)으로 인해 현실과 격리되어 본 적이 있다면, 당신은 그 사건이 […]

아무도 모른다, 🌿 그렇지만 문은 열려 있다 🌿 더 읽기"

허공에의 질주, 🛻 지상으로 내려온 소년 🚲

시드니 루멧, 〈허공에의 질주〉 포프 가족의 집에는 두 세계가 공존한다. 확장하는 한 세계와, 수렴하는 다른 세계. 두 세계가 교차하는 순간은 필연적으로 찾아온다. 〈허공에의 질주〉는 교차로 위에 서서 지나온 세월을 충분히 반추하며 다가올 미래를 환대한다. 한 시대의 끝과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선언하듯 서로에게 힘찬 손인사를 건네는 이들은 작별의 순간이 무색하게 언제까지나 서로의 집일 것이다. 이 영화,

허공에의 질주, 🛻 지상으로 내려온 소년 🚲 더 읽기"

라이스보이 슬립스, 🍚 돌아오거나, 돌아가거나 🍚

앤소니 심, 〈라이스보이 슬립스〉 짐을 싸고, 또다시 짐을 쌌다. 나긋한 목소리는 소영의 인생을 읊는다. ‘집’ 없이 태어난 아이의 삶은 내레이션 속 짐을 싼 횟수처럼 이동의 연속이었다. 영화 〈라이스보이 슬립스〉는 수많은 이동 끝에 한국을 떠나 캐나다에 자리 잡은 두 명의 디아스포라, 소영과 동현 혹은 데이비드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영화, 어디서 보지? 🍚 돌아오거나, 돌아가거나 🍚

라이스보이 슬립스, 🍚 돌아오거나, 돌아가거나 🍚 더 읽기"

바바리안, 🔦 지하실의 미친 여자 🔦

잭 크레거, 〈바바리안〉 이름 높은 로체스터 씨가 다락에 숨겨둔 것은 다름 아닌 자신의 부인이었다. 결혼하고 아이를 낳기 전에 미쳐 버린 여자. 그녀는 밤에만 내려와 침실 문을 슬그머니 열어 새 신부인 제인 에어를 두렵게 한다. 감옥 같은 다락방이 딸린 이 저택은 〈바바리안〉에서 미국 땅에 거꾸로 꽂혔다. 그리고 지하에서 미친 여자가 기어올라오는 호러영화의 무대가 되었다. 이 영화,

바바리안, 🔦 지하실의 미친 여자 🔦 더 읽기"

다가오는 것들, 📚 미지의 세상 속 충만함을 찾아서 📚

미아 한센-러브, 〈다가오는 것들〉 “영화 속 질문은 내가 항상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이라고 미아 한센-러브는 말한다. 베르히만 감독의 안식처에서 머무는 크리스, 현실적인 아파트에 살고 있는 산드라, 낯설어진 일상을 경유하는 나탈리. 이들을 통해 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무엇일까. 그의 작품 세계를 이루는 서로 다른 ‘집’을 찾아가 본다. 이 영화, 어디서 보지? 📚 미지의 세상 속 충만함을 찾아서 📚

다가오는 것들, 📚 미지의 세상 속 충만함을 찾아서 📚 더 읽기"

더 원더스, 🐝 집을 떠난 벌들이 돌아오지 않는다 🐝

알리체 로르바케르, 〈더 원더스〉 이탈리아의 외딴 시골, 들판 위에 작은 집이 놓여 있다. 그곳에서 가족들과 고된 양봉 일을 하며 지내는 젤소미나는 언젠가 이곳을 떠나 더 큰 세상에 속하고 싶다. 누군가는 이를 배신이라고 하지만, 더 이상 이런 삶을 지속할 수 없는 시대가 오고 있다. 이 영화, 어디서 보지? 🐝 집을 떠난 벌들이 돌아오지 않는다 🐝 깜깜한

더 원더스, 🐝 집을 떠난 벌들이 돌아오지 않는다 🐝 더 읽기"

올 오브 어스 스트레인저스, 🫂 어쩌면 우리는 외로운 사람들 🫂

앤드류 헤이, 〈올 오브 어스 스트레인저스〉 런던의 외딴 아파트의 적막 속에서 살아가는 극작가 애덤. 어느 날 아파트의 유일한 이웃 해리를 만나 점차 가까워지고, 문득 찾아간 예전 집에서 젊은 시절의 부모님과 마주한다. 〈올 오브 어스 스트레인저스〉는 애덤의 여정을 통해 타자화된 퀴어 존재의 불안과 고립을 탐색한다. 하지만 애덤이 게이라서 외로운 것은 아니다. 이 영화, 어디서 보지? 🫂 어쩌면

올 오브 어스 스트레인저스, 🫂 어쩌면 우리는 외로운 사람들 🫂 더 읽기"

난 엄청 창의적인 휴머니스트 뱀파이어가 될 거야, 🩸 헌혈하고 콘서트 티켓 받아가세요 🩸

아리안 루이-세즈, 〈난 엄청 창의적인 휴머니스트 뱀파이어가 될 거야〉 〈난 엄청 창의적인 휴머니스트 뱀파이어가 될 거야〉는 밤거리를 홀로 배회하는 소녀를 따라가기로 하면서, 영화는 다름 아닌 ‘휴머니스트 뱀파이어’라는 새로운 종을 제시한다. 그리고 ‘창의적’으로 살아가려는 시도까지 덧붙이면서 공존할 수 없을 것 같은 두 가지 속성을 가지고 말겠다는 선언이 된다. 이 영화, 어디서 보지? 🩸 헌혈하고 콘서트 티켓 받아가세요 🩸

난 엄청 창의적인 휴머니스트 뱀파이어가 될 거야, 🩸 헌혈하고 콘서트 티켓 받아가세요 🩸 더 읽기"

이소룡-들, 🥈 이 소룡을 보라! 🥈 

데이비드 그레고리, 〈이소룡-들〉 너훈아, 주용필, 설운두.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이 이미테이션 가수들의 이름은 조금 우스꽝스러운 인상을 준다. 왜 누군가는 아류를 자처하고, 왜 이미테이션은 문화산업의 이면에 상존했는가. 퍼블리시티권이라는 개념도, 지적재산권 개념도 모호하던 1970년대 홍콩에서는 세기의 액션 아이콘 이소룡의 갑작스런 부재를 이미테이션 배우들이 채웠다. 지금 그들은 어디에 있을까. 〈이소룡-들〉이 소위 ‘아류’들의 흔적을 추적해 나간다. 이 영화, 어디서 보지?

이소룡-들, 🥈 이 소룡을 보라! 🥈  더 읽기"

죽고 싶지만 사랑은 하고 싶어, 💭 여전히 괜찮아지고 싶은 우리에게 🌌

레이첼 램버트, 〈죽고 싶지만 사랑은 하고 싶어〉 필기체의 제목, 여성 주인공, 세밀한 감정 묘사, 우연, 그리고 사랑. 얼핏 보면 고전 멜로드라마 같다. 그러나 〈백설공주〉의 OST, ‘With a Smile and a Song’으로 마무리 되기까지, 우리의 프랜은 백마 탄 왕자를 그저 기다리지 않는다. 불안이 회피가 되고 방어가 공격이 되는 그가 알려줄 것이다. ‘죽음’을 딛고 몸과 마음을 움직여

죽고 싶지만 사랑은 하고 싶어, 💭 여전히 괜찮아지고 싶은 우리에게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