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 크레거, 〈바바리안〉 이름 높은 로체스터 씨가 다락에 숨겨둔 것은 다름 아닌 자신의 부인이었다. 결혼하고 아이를 낳기 전에 미쳐 버린 여자. 그녀는 밤에만 내려와 침실 문을 슬그머니 열어 새 신부인 제인 에어를 두렵게 한다. 감옥 같은 다락방이 딸린 이 저택은 〈바바리안〉에서 미국 땅에 거꾸로 꽂혔다. 그리고 지하에서 미친 여자가 기어올라오는 호러영화의 무대가 되었다. 이 영화, […]
단순한 대화 상대부터 업무 보조까지, AI는 어느새 우리 일상에 깊숙이 자리잡아 있는데요. 이런 AI에게 감시당하는 삶을 상상해 보신 적이 있나요? 이러한 상상력에서 출발한 영화 〈해피엔드〉, 여담의 4월 추천작으로 소개해 드립니다.
25년 2월호, 이 메일을 클릭하면 깜고의 축복이 🐈⬛ 더 읽기"
미아 한센-러브, 〈다가오는 것들〉 “영화 속 질문은 내가 항상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이라고 미아 한센-러브는 말한다. 베르히만 감독의 안식처에서 머무는 크리스, 현실적인 아파트에 살고 있는 산드라, 낯설어진 일상을 경유하는 나탈리. 이들을 통해 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무엇일까. 그의 작품 세계를 이루는 서로 다른 ‘집’을 찾아가 본다. 이 영화, 어디서 보지? 📚 미지의 세상 속 충만함을 찾아서 📚
다가오는 것들, 📚 미지의 세상 속 충만함을 찾아서 📚 더 읽기"
알리체 로르바케르, 〈더 원더스〉 이탈리아의 외딴 시골, 들판 위에 작은 집이 놓여 있다. 그곳에서 가족들과 고된 양봉 일을 하며 지내는 젤소미나는 언젠가 이곳을 떠나 더 큰 세상에 속하고 싶다. 누군가는 이를 배신이라고 하지만, 더 이상 이런 삶을 지속할 수 없는 시대가 오고 있다. 이 영화, 어디서 보지? 🐝 집을 떠난 벌들이 돌아오지 않는다 🐝 깜깜한
더 원더스, 🐝 집을 떠난 벌들이 돌아오지 않는다 🐝 더 읽기"
🏬 여담 제22호 집 소개 🏡 “집에 가고 싶다…” 한국인이 가장 자주 하는 말을 꼽아본다면아마 순위권에 있을 것 같은데요. 그만큼 ‘집’은 인간의 탄생부터 함께 해온 중요한 공간입니다.특히 현대인에게 이 ‘집’은 어떤 의미일까요. 누군가에게는 물리적인 집이,누군가에게는 심리적인 집이 필요하겠지요.사람마다 ‘집’을 정의하는 개념도 다를 것입니다. 이번 22호 [집]에서는 이런 ‘집’과 관련된 7편의 영화를
단순한 대화 상대부터 업무 보조까지, AI는 어느새 우리 일상에 깊숙이 자리잡아 있는데요. 이런 AI에게 감시당하는 삶을 상상해 보신 적이 있나요? 이러한 상상력에서 출발한 영화 〈해피엔드〉, 여담의 4월 추천작으로 소개해 드립니다.
25년 1월호, 가장 낯선 곳에서, 가장 깊은 사랑으로 💕 더 읽기"
🏆 2024 여담 연말결산 🏆 2024 여담 연말결산, 재밌게 보셨나요? 좋았던 주제, 글, 여담에게 하고 싶은 말 등 무엇이든 작성할 수 있는 담벼락을 마련했어요! 아래에 자유롭게 남겨주시고, 다른 분들의 답변도 만나보세요 😊
앤드류 헤이, 〈올 오브 어스 스트레인저스〉 런던의 외딴 아파트의 적막 속에서 살아가는 극작가 애덤. 어느 날 아파트의 유일한 이웃 해리를 만나 점차 가까워지고, 문득 찾아간 예전 집에서 젊은 시절의 부모님과 마주한다. 〈올 오브 어스 스트레인저스〉는 애덤의 여정을 통해 타자화된 퀴어 존재의 불안과 고립을 탐색한다. 하지만 애덤이 게이라서 외로운 것은 아니다. 이 영화, 어디서 보지? 🫂 어쩌면
올 오브 어스 스트레인저스, 🫂 어쩌면 우리는 외로운 사람들 🫂 더 읽기"
아리안 루이-세즈, 〈난 엄청 창의적인 휴머니스트 뱀파이어가 될 거야〉 〈난 엄청 창의적인 휴머니스트 뱀파이어가 될 거야〉는 밤거리를 홀로 배회하는 소녀를 따라가기로 하면서, 영화는 다름 아닌 ‘휴머니스트 뱀파이어’라는 새로운 종을 제시한다. 그리고 ‘창의적’으로 살아가려는 시도까지 덧붙이면서 공존할 수 없을 것 같은 두 가지 속성을 가지고 말겠다는 선언이 된다. 이 영화, 어디서 보지? 🩸 헌혈하고 콘서트 티켓 받아가세요 🩸
난 엄청 창의적인 휴머니스트 뱀파이어가 될 거야, 🩸 헌혈하고 콘서트 티켓 받아가세요 🩸 더 읽기"
데이비드 그레고리, 〈이소룡-들〉 너훈아, 주용필, 설운두.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이 이미테이션 가수들의 이름은 조금 우스꽝스러운 인상을 준다. 왜 누군가는 아류를 자처하고, 왜 이미테이션은 문화산업의 이면에 상존했는가. 퍼블리시티권이라는 개념도, 지적재산권 개념도 모호하던 1970년대 홍콩에서는 세기의 액션 아이콘 이소룡의 갑작스런 부재를 이미테이션 배우들이 채웠다. 지금 그들은 어디에 있을까. 〈이소룡-들〉이 소위 ‘아류’들의 흔적을 추적해 나간다. 이 영화, 어디서 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