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죽던 날, 🪞 내가 여기에 있어, 렌즈 너머의 나에게 🪞

박지완, 〈내가 죽던 날〉

유서 한 장만을 남긴 채 사라진 소녀의 흔적을 복직을 앞둔 한 형사가 쫓는다. 한 순간에 일상이 무너지고 긴 공백을 가진 ‘현수’는 자살임이 명백해 보였던 사건을 마무리짓고 새롭게 출발하고자 한다. 그런데 알아갈수록 소녀의 죽음은 석연찮고, 현수는 자신을 닮은 그 아이에게 마음이 쓰인다.

 

이렇게 수사극으로 출발한 〈내가 죽던 날〉은 벗어나고 싶은 어두운 과거와 분투하는 이들의 진심을 너그러운 시선으로 전한다. 그 공들인 위로에 나의 마음을 살며시 얹어 보낸다.

🪞 내가 여기에 있어, 렌즈 너머의 나에게 🪞

필사를 하지 않은지 꽤 되었다.

 

손으로 쓰는 시간이 아까워 타이핑하기 시작했고, 그마저도 귀찮아 이제는 대충 사진만 찍는다. 

앨범 위로 떠밀려가 금방 잊어버릴 문장을 ‘남겼다’는 착각과 함께.

 

읽었지만 고갈되는 언어로 남길 수 있는 말은 없어 영화를 보고도 시답잖은 말들만 끄적인다.

찰나의 감상은 티켓 위 글자처럼 흐려진다.

뭐라도 붙들고 싶어 기록에만 열중한다.

 

귀찮음과 조급함이 공존하는 모순된 상태를 인지하고서야 찍은 이유조차 가물가물해진 사진들을 돌아본다. 그리하여 꺼낸, 읽다가 찍은 가장 최근의 문장을 함께 곱씹고 싶다. 당시의 감정은 사라졌을지라도 그것에 대해 오래오래 생각하면 마음에 흔적을 남길 테니까.

 

이건 흘러가는 것들을 너무 쉽게 잊지 않겠다는 일종의 다짐이기도 하다.

_조해진, 『단순한 진심』

〈내가 죽던 날〉의 현수 역시 삶의 어떤 순간들을 그저 흘려보내기 바빴다. 이만하면 괜찮다고 생각했던 삶을 지탱해온 것들은 남편이 신의를 저버린 어느 날 속절없이 무너진다. 그제야 과거를 돌이키는 현수는 모든 것을 자신의 탓으로 돌린다. 왜 이렇게 된 걸까, 왜 몰랐을까, 몰랐던 게 변명이 될까… 

 

그의 편을 자처하는 주변인들은 그를 위하려다 오히려 자책을 부추긴다. 당신은 싸울 준비가 안 되어 있다며 그 사람이 왜 사과를 하겠냐는 변호사, 수사에 열중하는 그에게 이혼 소송을 소홀히 한다고 비난하는 친구, 일을 키우지 말고 대충 끝낼 것을 주문하는 상사. 주변인이 정의내린 현수는 그저 물가에 내놓은 아이 같다.

 

제힘으로 되찾을 수 있는 유일한 과거의 조각인 일에 현수는 더욱 매진한다. 그런 그에게 주어진 것은, 시신도 없이 파도 사이로 바스라져간 아이의 흔적을 수습하는 일이다. 수사극의 외피를 쓴 영화는 장르적인 긴장감보다는 클로즈업과 내레이션으로 느리게 감정을 쌓아올린다.

“하지만 나는 이 아이의 표정을 안다. 지난 1년 동안 내가 거울 속에서 봤던 표정이다.”

세진은 꼭 자신을 닮아서 현수는 감시카메라가 아이를 관찰할 때 비로소 경계를 풀 수 있다. 그늘 아래에는 “홀로 남겨져 모두에게 잊혀질” 것을 두려워하는 마음이 있다. 죽음의 규명과는 하등 관계없을지 모르지만 그 애의 옆에 누구라도 있었음을 확인하려는 것은 그만큼 현수가 간절하게 세진의, 그리고 자신의 편이 되어주고 싶기 때문이다.

 

그러나 흔적을 따라 올라갈수록 분명해지는 것은 세진의 편에 누구도 없었다는 것뿐이다. 매일같이 경위서를 다시 작성해 보아도 그날 대체 어떻게 해야 했는지는 알 수 없다. 처참하게 부서진 차, 아무런 감각도 느껴지지 않는 팔, 누구 한 명 도와주지 않고 구경하기 바쁜 사람들.

이 집에 와서 거의 잠을 못 잤어.

악몽을 꾸거든. 내가 죽었더라구. 매일 내가 죽은 걸 내가 보고 있는데…

저걸 좀 치워주지, 누가 좀 치워라도 주지.

꿈속에서 나는 계속 그 생각만 해.

다른 이를 들여다보는 일로 나의 과거를 잠깐이나마 잊어가며 누군가 찾아와 수습해주기를 기다렸지만, 기억은 매일 밤 더 선명하게 찾아온다. 나아가기는커녕 미동도 못 하고 죽어 있던 그 날로 자꾸 돌아가는 현수에게는 세진의 발버둥이 각별하다. 죽음은 외로웠을지언정 어떻게든 발버둥친 자신이 여기에 있다고, 카메라 렌즈 너머 현수에게 말해주는 것 같다.

 

그리고 의지하던 모든 어른이 외면했을 때 세진이 떨어지지 않도록 품을 내어준 낯선 타자가 있다. 주위에선 성격이 나빠졌다고 수군대지만, 순천댁은 세진에게 무리하게 묻지도 탓하지도 않고 정을 건넨다. 일순간 나빠진 상황에서 벗어나고자 농약을 마셨던 그는 같은 이유로 세상으로부터 숨은 아이에게 ‘나를 구할 사람은 결국 나’라고 말한다. 여전히 과거를 살아가는 자신 역시 구하고 싶은 또 하나의 간절한 목소리다.

 

덩달아 그 마음을 받아 든 현수는 도망을 멈춘다. 그리고 꿈속의 자신을 수습할 채비를 한다. “생각이 바뀌었어. 나 예전으로 안 돌아가. 너랑 싸울 거야. 내가 싸웠다는 걸 남기기 위해서 싸울 거야.”  최선을 다한 내가 남는다면, 스스로를 구하기 위한 싸움에 결과는 중요하지 않다. 흔적들을 더듬어 세진이 몰래 섬을 떠난 날에 도착한 그날, 현수는 비로소 그를 죄던 답답한 정복을 벗어던진다.

‘진심’은 모순을 품은 말이다. 가장 자신을 드러내보이지 않지만, 볼품없는 마음들이 너무 쉽게 진심이라는 말로 포장되어 단어를 퇴색시킨다. 그래서 자주 진심을 심연에 감추는 우리는 무심코 타자의 마음의 깊이를 헤아리기도 한다. 겹치지만 포개지지 않는 다이어그램처럼, 서로의 어떤 영역은 침범할 수 없는 것이라고.

 

그렇게 혼자 끙끙대다 보면 문득문득 ‘밥도 묵고 약도 잘묵으라’는 삐뚤빼뚤한 한 마디가 콕 박힌다. 어떤 무게도 갖지 않는다 생각했던 그 말에 스민 것은 숨죽여 지켜보던 시선이고, 뚫어져라 감시카메라를 보던 눈길이다. 부서지고 부서져 당도한 지긋한 마음이다. 그리고 그 진심은 쉽게 흩어지지 않는 잔물결을 남긴다.

230420_성하 보냄.

🍋

“빛이 사윈 자리엔 어둠이 빠른 속도로 스며들고 있었으나 어둠까지도 포함하는 사랑의 영역이 진심에 근접하다는 걸,”

_조해진, 『단순한 진심』

🍭PICK!
기예르모 델 토로, 〈기예르모 델 토로의 피노키오〉

🍀 PICK!
데이미언 셔젤, 〈바빌론〉

🦄 PICK!
알폰소 쿠아론, 〈로마〉

👾 PICK!
이와이 슌지, 〈립반윙클의 신부〉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